본문 바로가기

오픈소스와 소프트웨어

포스트스크립트 등장과 어도비 첫 성공 스토리

1982년 설립된 어도비 시스템즈(Adobe Systems)는 초창기부터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 이 기업이 세상에 처음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것은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라는 페이지 설명 언어를 통해서였다. 이 기술은 어도비 첫 번째 제품이자 디지털 출판 업계를 뒤흔든 핵심 요소로, 어도비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포스트스크립트 등장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산업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으며, 어도비 성공 신화를 쓰는 첫 장이 되었다.


페이지 설명 언어의 필요성과 포스트스크립트의 탄생

1980년대 초, 인쇄 및 출판 산업은 아날로그 중심의 비효율적인 작업 방식에 의존하고 있었다.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기 시작했지만 인쇄물 제작 과정은 여전히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이었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를 정확하게 출력 장치에 전달하고 재현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술이 부족했다.

 

존 워녹(John Warnock)과 찰스 게스치(Charles Geschke)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페이지 설명 언어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제록스 PARC(Palo Alto Research Center)에서 '인터프레스(Interpress)'라는 기술을 연구하던 중, 더 강력하고 유연한 솔루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제록스를 떠나 어도비를 설립했다. 포스트스크립트는 바로 이 연구를 기반으로 탄생한 기술로, 디지털 문서 그래픽과 텍스트를 정확히 정의하고 출력할 수 있는 강력한 언어였다.

 

포스트스크립트 등장과 어도비 첫 성공 스토리

포스트스크립트의 주요 특징과 혁신성

포스트스크립트는 단순한 페이지 설명 언어를 넘어 여러 면에서 혁신적이었다. 이 기술은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1. 장치 독립성(Device Independence): 포스트스크립트는 특정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고, 어떤 프린터나 출력 장치에서도 동일한 품질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는 당시 인쇄 산업에서 큰 돌파구였다.
  2. 벡터 기반 그래픽(Vector Graphics): 포스트스크립트는 벡터 그래픽을 활용해 텍스트와 이미지를 수학적으로 정의했다. 이는 해상도에 상관없이 선명한 출력 결과를 보장했다.
  3. 프로그래밍 가능성: 포스트스크립트는 단순한 언어가 아니라, 조건문과 반복문 같은 프로그래밍 기능을 지원하는 고급 스크립트 언어였다. 이를 통해 복잡한 페이지 레이아웃과 그래픽 처리가 가능했다.
  4. 확장성과 호환성: 다양한 글꼴과 그래픽 요소를 지원하며 유연하게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술적 우수성 덕분에 포스트스크립트는 디지털 출판 산업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애플과의 협력: 포스트스크립트의 상업적 성공

포스트스크립트의 진정한 돌파구는 1983년 애플(Apple)과의 협력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애플 최고경영자(CEO)였던 스티브 잡스는 포스트스크립트 잠재력을 알아보고, 어도비에 초기 투자자로 참여했다. 잡스는 어도비에 250만달러(약 36억원)를 투자하고, 포스트스크립트를 애플 레이저 프린터 제품인 '레이저라이터(LaserWriter)'에 통합하는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레이저라이터는 애플 매킨토시(Macintosh) 컴퓨터와 결합해 데스크톱 출판(DTP, Desktop Publish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탄생시켰다. 잡스는 이 기술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에게도 창의적이고 고품질의 출판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고 믿었다. 실제로 레이저라이터와 매킨토시 결합은 소규모 디자이너와 출판사가 고가의 전통 인쇄 장비 없이도 전문적인 품질의 인쇄물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포스트스크립트의 산업적 영향

포스트스크립트는 단순히 어도비 성공을 넘어 출판 및 인쇄 산업 전체에 혁신을 불러왔다. 이 기술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1. 디지털 출판 표준화: 포스트스크립트는 디지털 출판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특히 잡지, 신문, 광고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2. 출력 품질의 향상: 벡터 기반 그래픽과 고해상도 지원을 통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정밀한 출력이 가능해졌다.
  3. 새로운 시장 창출: 포스트스크립트와 레이저라이터 조합은 데스크톱 출판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며, 디지털 디자인 및 출판 산업의 폭발적 성장을 이끌었다.
  4. 글꼴 기술 발전: 포스트스크립트는 다양한 글꼴을 지원하며 타이포그래피 디지털화를 가속화했다. 이는 후에 어도비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글꼴 라이브러리와 PDF 기술로 이어졌다.

어도비의 첫 성공이 남긴 교훈

포스트스크립트는 어도비가 기술 혁신과 상업적 성공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사례다. 이 기술의 성공은 다음과 같은 교훈을 남겼다.

  1. 기술의 상업적 가치를 이해하라: 포스트스크립트는 단순히 뛰어난 기술일 뿐만 아니라, 상업적 잠재력을 실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스티브 잡스와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표준화의 힘: 포스트스크립트는 디지털 출판의 표준으로 자리 잡으며 기술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극대화했다.
  3. 창업자의 비전: 워녹과 게스치는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술을 통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겠다는 비전을 실현했다.

포스트스크립트 이후: 어도비의 미래를 여는 기술

포스트스크립트는 어도비의 첫 번째 성공이었지만 이는 시작에 불과했다. 이 기술은 후에 어도비 PDF(Portable Document Format)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으로 이어졌고, 오늘날의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Creative Cloud)로 이어지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했다. 포스트스크립트의 성공은 어도비가 단순한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창의적 혁신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첫걸음이었다.

 

포스트스크립트는 디지털 기술 가능성을 현실로 바꾸며, 어도비가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이는 단순한 기술 성공이 아니라, 창업자들의 비전과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끄는 혁신의 사례로 남아있다.